가상서버 나의서비스관리 방화벽 설정은 어떻게 하나요?
요약 정리
- 나의서비스관리 > 서버관리 > 방화벽 관리에서 외부 방화벽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- 방화벽을 ON으로 켠 뒤, IP/포트 기준으로 INBOUND·OUTBOUND 정책을 설정하세요.
- INBOUND(모든 사용자/특정 사용자)와 OUTBOUND 정책을 구분해 필요 규칙을 추가합니다.
- 특정 IP에 대한 포트별 허용/차단 추가와 룰 삭제는 별도 메뉴에서 관리합니다.
- 방화벽을 OFF로 전환하면 기존 룰이 모두 초기화됩니다.
1. 방화벽 기능 활성화
- 나의서비스관리 > 서버관리 > 방화벽 관리에서 방화벽 기능을 활성화합니다.
- 화면 상단에서 방화벽 상태를 ON으로 전환하세요.
- 방화벽 상태를 ON으로 전환하는 위치 예시 화면입니다.
2. 포트 검색 결과 확인
- 방화벽을 활성화하면 사용 중인 IP에 대한 포트 검색 결과 화면이 출력됩니다.
- 현재 개방/차단 상태를 확인한 뒤 필요한 규칙을 설계하세요.
- IP별 포트 상태를 조회하는 예시 화면입니다.
3. 정책 및 규칙 추가 설정
- 방화벽에 필요한 포트 및 IP에 대한 추가 설정을 진행합니다.
- 정책 유형(INBOUND/OUTBOUND)에 맞춰 규칙을 추가합니다.
정책 유형별 설명
- INBOUND 접근 정책 (외부에서 내부로 접근: 모든 사용자)
-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한 정책과, 특정 IP/대역에 대한 접근 차단 정책을 설정합니다.
- INBOUND 접근 정책 (외부에서 내부로 접근: 특정 사용자)
- 외부에서 내부로 접근하는 특정 IP에 대한 서버 접근 정책을 설정합니다.
- OUTBOUND 접근 정책 (내부에서 외부로 접근)
- 내부에서 외부로 접근하기 위한 정책을 설정합니다.
4. 특정 IP에 대한 포트별 추가/삭제 관리
- INBOUND 특정 IP 접근에 대해 포트별 IP 추가 설정, 룰 삭제 등은 아래 메뉴에서 진행합니다.
- 특정 IP를 허용/차단하는 규칙을 포트별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.
- 등록된 규칙을 선택하여 삭제/수정할 수 있습니다.
추가 안내
- 방화벽 설정 후에도 Rule 추가하기 등을 통해 원하시는 포트 및 IP 설정이 가능합니다.
- 방화벽 해제를 원하시면 상단 방화벽 상태에서 [OFF]를 클릭하면 됩니다.
- 주의: 방화벽을 OFF로 전환하면 기존 방화벽 관리에서 설정한 모든 룰이 초기화됩니다.